[스타트업 자금조달방식 살펴보기] ⑤창업의 마중물, 정부 지원금 

 

◇보조금
정부가 창업자에게 창업자금을 직접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초기 창업의 금전적 허들을 넘거나, 지속적 투자가 필요할 때 유용하게 쓰입니다. 

 

주로 중소기업부와 창업진흥원 등 유관기관이 집행하며, 대학·은행 등과 연계해 지원하기도 합니다.

상세한 내용은 K-STARTUP 홈페이지를 통해 살펴볼 수 있으며, 연구자·재창업·시니어창업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가동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사업은 회사 지분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창업자로서는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상환 의무가 없는 사업도 많습니다.

 

다만 지원금마다 자금 용처가 정해져있고, 지출 때마다 증빙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이에 일부 스타트업은 정부지원금과 관련한 전담 직원을 두는 곳도 있습니다. 

또 지급 시기가 정해져 있는 경우가 많아 즉각적인 자금조달에는 알맞지 않습니다. 창업 목적 등 사전에 제시된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자금을 상환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최근 지원 규모는 대개 5000만~1억원 정도며, 현금보다는 바우처 방식이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대출보증

 

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 등 여러 정책 보증기관이 기업의 대출을 보증해주는 방식입니다. 정부기관이 스타트업의 기술과 사업성을 심사해 은행 대출의 일부나 전체를 보증합니다. 

 

스타트업은 신용이 낮고 현금흐름이 부족하기 때문에 금융 조달에 어려움을 느낄 때가 많은데, 이를 보완해주자는 목적입니다.

 

다만 업력이 짧고 현금흐름이 불규칙적이거나 자산이 부족한 경우 보증을 받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정부기관의 보증 지원 요건을 잘 따져봐야 합니다.

◇매칭펀드

 

정부와 민간과 동일 금액을 출자해 펀드를 조성, 초기 기업에 자금을 지원하는 방식입니다. ​넓은 의미로 한국벤처투자나 TIPS 프로그램 등도 매칭펀드에 해당합니다. 

 

​정부와 동일 비율로 민간 기업·투자사와 공동으로 자금을 넣기 때문에 자금 조달이 용이해지고, 향후 사업을 펼치기에도 유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