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자금조달방식 살펴보기] ④자산 활용하는 자금 조달 방식

 

◇채권매입

 

당장 지금 가진 게 없다면 앞으로 발생할 자산을 담보로 돈을 끌어올 수도 있습니다. 

 

현재 가진 기술과 네트워크로 앞으로 6개월 내 납품할 계약을 따냈다면 그 계약을 토대로 납품가액에 준하는 자금을 금융기관으로부터 조달할 수 있습니다. 

일종의 매출채권담보부대출로 채권매입, 혹은 팩토링이라고 부릅니다. 일종의 외상 개념입니다. 

 

공장 등 케펙스(CAPEX, 미래 이윤창출을 위한 지출비용) 투자가 많이 필요한 제조업의 경우 투자 때마다 주식을 발행해 자금을 조달할 수는 없습니다.

 

이 때문에 이익률을 일부 줄이더라도 앞으로 발생할 매출을 담보로 금융권으로부터 돈을 끌어오는 방식입니다. 

 

상환은 자금지원을 받는 회사가 매출채권을 받은 뒤 이를 대출 은행에 할인가로 되파는 방식으로 합니다. ​할인율은 대출금리에 준하게 적용됩니다. 

 

채권매입에 있어 가장 중요한 행위 주체는 대금을 지급할 기업, 즉 발주자입니다.

 

용역을 따낸 기업이 아무리 열심히 제품을 만들었어도 발주자가 대금을 지급하지 못하면 은행은 피해를 입습니다.

 

이 때문에 은행은 매출채권 발행자가 누구인지를 정밀하게 따집니다. 삼성전자·현대자동차 같은 대기업이 발주자라면 금융권 융자도 용이할 것입니다.

 

​금융회사는 이 신용을 바탕으로 매출채권·계약금액의 일정 비율을 사업자금으로 제공합니다. ​구매자에게 매출채권을 행사해 판매대금을 직접 회수하게 됩니다. 

 

이 방식은 최초 설비 투자가 필요하거나 급하게 자금을 융통해야 할 때 쓰입니다. 사업 규모가 일정 수준 이상 커졌다면 자체 유보 현금으로 투자를 하는 것이 정석적인 경영 방식입니다.


◇라이선스 활용

스타트업은 기술 개발 및 사업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특허나 인허가권 등의 라이선스를 확보하게 됩니다.

 

이 라이선스를 투자자나 타기업도 일부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투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권리 이양은 전부, 혹은 전부가 될 수 있으며 양도도 가능합니다.

 

그러나 가장 많은 경우는 투자에 대한 대가로 라이선스를 이용해 창출한 이익 일부를 투자자에게 떼주는 방식입니다. 

 

​라이선스로 조달한 투자는 지분을 나누지 않기 때문에 창업자에게 유리하고, 투자자도 보다 분명한 수익기반이 되고 수익률도 높은 편이라 윈윈할 수 있는 투자 방식입니다. 

 

​라이선스는 정부나 대기업 등과 맺은 게 가치가 높고, 향후 추가 투자 유치에도 유리합니다. ​

물론 문제점은 있습니다.

 

자칫 회사의 핵심 자산을 뺏기거나 경쟁사에 유출, 전략적 지위 손상 등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 라이선스가 외부에 공개되는 셈이기 때문에 경쟁 우위를 뺏기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습니다. 

◇수익공유 계약

 

라이선스와 비슷하게 투자자와 수익을 공유해 자금을 유치하는 방식입니다. 지분을 나누지 않기 때문에 미래 성장 동력을 크게 해치지 않습니다. 

 

​투자자들은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모델과 수익 창출 능력을 가늠한 뒤 이에 상응하는 선행 투자를 단행합니다. 

 

​기업으로서는 현금흐름의 일부를 투자자와 공유할 뿐이라 큰 리스크를 부담하진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