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리팬스 창립자, 암호화폐 재단과 손잡고 틱톡 인수 입찰

성인 콘텐츠 기반 소셜미디어 온리팬스의 창립자 팀 스토클리가 암호화폐 재단 Hbar와 협력해 틱톡 인수를 위한 입찰 제안을 백악관에 전달했다.(사진=틱톡)

성인 콘텐츠 기반 소셜미디어 온리팬스의 창립자 팀 스토클리가 암호화폐 재단 Hbar와 협력해 틱톡 인수를 위한 입찰 제안을 백악관에 전달했다.

지난 2일(현지시간) 성인 콘텐츠 기반 소셜미디어 온리팬스의 창립자 팀스토클리가 암호화폐 네트워크 헤더라의 재단인 Hbar와 손잡고 틱톡 인수를 위한 제안을 백악관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입찰은 스토클리가 설립한 스타트업 ‘주프’를 통해 진행됐으며 Hbar 제단은 재무 및 파트너십 측면에서 협력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주프의 공동 창립자인 RJ 필립스는 “이번 입찰은 단순히 소유권을 넘기는 것이 아니다”며 “크리에이터와 커뮤니티가 직접 창출한 가치로부터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만드는 데 목적이 있다”고 밝혔다.

같은 날 아마존도 틱톡 인수를 위한 입찰에 참여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틱톡의 모 회사인 중국 기업 바이트댄스는 미국 정부의 법률에 따라 오는 4월 5일까지 틱톡의 미국 내 사업을 매각하거나 철수해야 할 수 있다.

미국 정부는 틱톡의 중국 소유 구조가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해 여야의 지지를 받은 관련 법안을 지난 1월 19일 발효했다.

이에 대해 틱톡은 해당 조치가 미국 수정헌법 제1조에서 보장된 표현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 직후 틱톡 매각 협상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법 진행을 4월 5일까지 연기했으며 필요하면 마감일을 추가로 연장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현재 틱톡 인수 논의는 바이트댄스의 비중국계 투자자들이 틱톡 미국 사업을 분리해 인수하는 방안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해당 협상에 4개 단체가 참여 중이라고 밝혔으나 세부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미국 정부는 인수 절차를 직접 조율하고 있으며 백악관이 경매를 주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