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기계도 전동·자율주행 적용 서둘러야"

강성후 ㈔국제전기차엑스포 사무총장

 

우리 농업·농촌은 70세 이상 초고령 인구가 30.1%, 70세 이상 농가 경영주가 41.9%(2017년 기준)인데다 인구 감소, 여성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정부는 이에 대한 해소 대안으로 농업기계화촉진법에 의해 ‘제8차 농업기계화 기본계획’(2017년)을 수립해 시행하고 있다.

 

올해도 농기계 이용률 제고, 밭농업 기계화 중점 추진, 첨단 농기계 개발 보급 등에 1200억원을 투자하고 있다. 2003년부터는 5000억원을 투자해 농기계 임대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그 결과 작업료는 52%, 작업시간은 90% 이상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농기계 보급 촉진에 상당한 국가 예산이 투자되고 있음에도 이앙기, 콤바인은 이미 외국제품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자칫 현재 보급 중인 밭작물 농기계도 외국기업 차지가 될 수 있다고 우려하는 등 한국 농기계산업이 위기라는 지적이 많다.

 

수요자인 농민들도 고장이 별로 없고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농기계를 선호하면서 국산보다는 외국산 제품을 찾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미국과 일본, 유럽, 중국 등은 일찍부터 정부와 기업, 대학 등이 공동으로 4차 산업혁명 화두인 인공지능(AI)과 전기차에서 시작된 전동화(e-mobility)의 농기계 적용을 확대해 왔으며 존디어(John Deere) 등 기업들도 시장 선점에 나서고 있다.

 

실례로 미국 최대 농기계 기업인 존 디어는 지난해 세계최대 국제가전박람회 CES(Consumer Electronics Show)에서 각종 센서와 통신기능을 탑재한 콤바인을 선보이면서 상당한 호평을 받았다.

 

우리도 초고령화와 인구 감소, 여성화되고 있는 반면에 최근 귀농귀촌으로 40대 유입이 많은 농업·농촌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농기계 정책 방향을 과감하게 전환해야 한다.

 

첫째, 온실가스와 미세먼지 주범인 내연기관을 전동화시켜야 한다. 이를 통해 범지구적 과제인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한편 고령화된 농민의 건강을 지키고 조작이 간편하고 쉬운 농기계를 보급해야 한다.

 

둘째, 미국 기업 존디어처럼 인공지능을 활용한 자율주행(AV) 적용도 서둘러야 한다. 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기술혁신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응하는 농업·농촌으로 획기적인 변화가 이뤄져야 한다.

 

자율주행 트랙터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15년 6억달러에서 2023년 12억달러, 2050년 450억달러로 예측되고 있다.

 

농민을 대상으로 한 보급 중심의 농기계 정책도 경쟁력을 갖춘 수출산업으로 육성할 수 있도록 산학연관 컨소시엄, 다부처 협업 장기·대형 국책사업, 연구 및 실용화 시범단지 운영, 인프라 구축, 인력 양성, 제도 개선 등 농기계 산업 육성 정책까지 대폭 보완 반영해 추진해야 한다.

 

한국은 제조업 및 정보통신기술(ICT) 강국으로서 충분한 여건을 갖고 있다.

 

국내 농기계 산업이 경쟁력을 갖춘 수출산업으로 발전하면 일자리 및 부가가치 창출과 함께 농민에게도 고장은 별로 없으면서도 사후 품질관리(AS)까지 잘 이뤄지는 글로벌 수준의 고품질 농기계를 보급하게 되는 선순환이 이뤄지게 될 것이다.

 

이러한 농기계산업의 과제 해소에 기여하고자 국제전기차엑스포는 ‘한국 전동(EV)자율주행(AV)농기계정책포럼’을 창설했다. 이 정책포럼을 통해 농기계산업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응하는 수출산업, 농업·농촌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 산업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해 나가려고 한다.

 

올해 열리는 제7회 엑스포(4월 29일~5월 2일)에서도 산학연관이 참여하는 정책포럼, 농기계 전시, 현장 시승시연, 기업 간 거래(B2B) 등을 종합적으로 진행해 한국 농기계 전동·자율주행의 새로운 전기도 마련하게 된다.

 

역사는 제대로 준비하고 도전한 집단들의 기록이다. 한국의 농기계산업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수출산업으로, 국내 농업·농촌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산학연관이 함께 지혜를 모아나가야 한다.